교복업체, 유명연예인(김연아, 원더걸스, 빅뱅, 샤이니 등) 출연 광고 중단에 대한 소감

 

올 2월 초부터 유명연예인이 등장하는 교복광고를 볼 수 없을 전망이다.
교육과학기술부(이하 교과부)는 23일 대형교복업체 4곳과 간담회를 갖고 이같은 결정을 내렸다. 교과부는 교복가격 인상 자제를 권고했으며, 교복업체들은 유명 연예인이 등장하는 광고 등 과다한 판촉행위를 자제하기로 했다.

간담회에는 스쿨룩스, 아이비클럽, 엘리트학생복, SK네트워크 등 대형 교복업체와 한국교복협회가 참여했다. 교과부는 이들에 교복가격 안정을 통한 교육비 부담 경감을 위해 가격인상 및 유명 연예인이 등장하는 광고와 같은 과다한 판촉행위를 자제해달라고 당부했다.

마이데일리(인터넷), 2009년 01월 23일(금)
교복업체, 2월부터 유명 연예인 교복광고 자제키로” 기사 중 일부

학부모 단체와 시민단체에서는 엄청나게 상승하고 있는 교복가격이 가계에 큰 부담을 주고 있는데 교복업체에서 청소년들에게 인기가 있는 아이돌 스타들을 CF로 내세워 가격 상승을 주도하고 이들의 엄청난 모델료가 원가상승에 영향을 준다는 이유로 교복업체의 톱스타 CF에 대한 비판을 지속적으로 개진해왔다.

마이데일리(인터넷), 2009년 01월 24일(토)
스타, 아파트 이어 교복 CF 퇴출! 왜?” 기사 중 일부

사용자 삽입 이미지

1. 교과부가 권한이 있지 않겠지만. 결국 “교복 가격 인하”라는 핵심적 사안에 대해선 “권고”외에 실질적인 조치에 대해선 아무 action을 취하지 않았습니다.

2. 그런데 이 어려운 경제상황을 감안하여 4개 대형 교복업체가 교과부와의 간담회 자리에서 유명 연예인이 등장하는 광고를 2월부터 중단하기로 합의했다고 합니다.

3. 항상 어려운 시기에는 기업들이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자구책을 강구하는데, 가장 쉽고 선호하는 방법 중 하나가 광고, 홍보 비용의 절감입니다.

일전에 “교복 속에 숨어 있는 재미있는 마케팅 이야기…”라는 졸필에서도 잠깐 언급했듯이 교복 시장은 제로섬 게임입니다. 이 어려운 상황에 광고, 홍보 비용을 절감하고 싶어 미치겠는데, 우리만 절감한다면 그에 대한 피해는 나만, 그에 대한 이득은 경쟁사가 고스란히 가져갑니다. 하지만 이 합의로 인해 그 고민은 단번에 해결된 형국입니다.
다시 말하면 수억원의 마케팅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어려운 경제 분위기를 감안하고 교복 값 안정을 위한다는 공익적 명목으로 홍보할 수 있는 1석 2조의 커뮤니케이션인 것입니다.

“헉헉…잠깐만…우리 지금 다 힘들잖어…나도 돈이 부족한데, 너도 힘들지? 우리 잠깐 숨좀 돌리고 광고를 줄이는게 어때? 다같이 그냥 광고 하지 말자! 어때어때?”
“응응…좋아…나도 무지 고민했었거덩…잘 됐다.”

하지만 이것은 오히려 또다른 공개적인 담합과 마찬가지이며 교과부는 이를 눈감아 주는 형국입니다.

4. 여러분은 교복과 브랜드 아파트들의 유명 연예인 출연 광고를 중단한다고 하는데 그러면 정말 교복가격이, 아파트 가격이 내려가리라 생각하십니까? 교복업체는 정말 가격을 내릴 건가요? 교과부는 내릴 수 있다고 생각했던 것인가요?

언제까지 엄청난 모델료와 광고비가 제품 원가 상승에 큰 영향을 준다고 호도할 것인가요? 
경제가 어렵다면 유명 연예인들은 광고하면 안되는 것으로 표현하기도 하는데 정말 그럼 안되는 것인지요?

제가 너무 삐딱한 건가요?…

※ 이 글은 총 134회 조회되었습니다.


6 thoughts on “교복업체, 유명연예인(김연아, 원더걸스, 빅뱅, 샤이니 등) 출연 광고 중단에 대한 소감

  1. 유명연예인들의 교복광고 중단을 당연히 업계담합으로 봐야 하겠지요. 맥주회사 있을 때 만약 경쟁사와 우리가 함께 광고를 전면 중단해도 맥주는 정상적으로 팔리리라 봤었습니다. 대신 년간 마케팅 비용이 300-400억 가량 save가 되니 서로 서로 같은 매출에 이익만 양사가 대거 상승하는 win win 상황이 도래할 것으로 농담처럼 이야기 하곤 했지요.

    교복업체들도 광고중단으로 얻을 비용절감치를 교복 가격 인하로 반영하지 않는 이상…아주 이상적인 win win 상황인거죠. 특히나 리딩 업체에게는 더더욱…

    • 부사장님 말씀하신것 처럼 교복시장의 과점체제를 유지하고 있는 기업들 입장에서 win win인 상황을 두고 뭔가 공익적인 행위를 한 것으로 표현하고 있어 새해 벽두에 발끈했습니다. 🙂 역시 부사장님께서 주무르던(?) 마케팅 비용의 스케일이 다르군요… 남은 연휴 좋은 시간되십시요! 감사합니다.:)

  2. 다시 생각날때 긁적여 봅니다. 교복시장에서 광고의 비중이 교복 가격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일년 비지니스의 성패를 좌우하는 동복 TV광고는 12월~2월, 3개월 밖에 진행하지 않으며 톱스타라고 3개월~6개월 계약입니다.

    교복시장은 성장하지 않는 시장입니다. 학생들의 수는 정해져있습니다. 오히려 서서히 감소하는 추세입니다. 이런 시장환경에서 2000년 초반까지 과거 대형 3사가 과점을 유지하고 있다가 1개 업체가 시장 집입을 하여 안정적인 정착을 합니다. 피자 한판을 3등분해서 나눠먹다가 이제 4등분 해서 나눠먹어야 하는데, 피자 크기는 똑같은데 작년보다 똑같은, 아니 오히려 큰 피자 조각을 먹으려 하니… 과거 매출을 유지하려면 당연히 가격을 올려야 겠지요.

    경기에 참가하는 선수 4명이 모두 참가비를 안내기로 합의한 것이 어찌 관객들에게 이득이 돌아간다 생각할 수 있습니까? 광고를 진행하지 않는다고 절대 교복가격이 내려가지 않습니다. 오히려 교복 가격은 동결한다 하지만 광고비 지출 감소로 인한 EBIT은 더 증가되는 상황입니다.

    ‘꿩먹고 알먹고’, ‘도랑치고 가재잡고’, ‘누이좋고 매부좋고’ , ‘마당쓸고 돈줍고’…

  3. Pingback: ARTIST SONG

shinjuho에게 댓글 남기기 댓글 취소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